2018. 4. 30
아직 꽃은 피지 않았으나 꽃차례가 풍성한 것은 수나무, 4개정도 붙어있는 것은 암나무로 보인다.
옛사람들은 물푸레나무로는 농기구 자루를 만들고 대팻집나무로는 나무를 깎는 대팻집을 만들어 쓴 모양이다.
대팻집나무와 민대팻집나무의 가장 큰 차이는 잎 뒷면에 털 유무인 모양이다. 뒷면에 털이 전혀 없으면 민대팻집나무,
잎뒷면 맥 위에 끝까지 털이 남아있으면 대팻집나무로 보면 될 것 같다.
'풀꽃,나무 > 백운산 야생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철쭉(진달래과) (0) | 2018.04.30 |
---|---|
팥배나무(장미과) (0) | 2018.04.30 |
산괴불주머니(현호색과) (0) | 2017.12.24 |
가는갈퀴나물(콩과 나비나물속) (0) | 2017.12.24 |
큰개별꽃 (0) | 2017.05.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