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미기록종 발견(공개)/기타5 (털)청까마귀머루 2024. 6. 19. 회사 앞 조그만 언덕에 개머루, 털개머루, 까마귀머루가 제멋대로 자라고 있었는데 요 애들은 줄기, 잎 뒷면에 털이 많아 털개머루로 알고 지켜보고 있었다. 어느 날 꽃차례가 나오고 있었는데 내 예상과 달리 취산꽃차례가 아닌 원뿔모양꽃차례였다. 그렇다면 개머루가 아니지 않는가...이래저래 살펴보니 청까마귀머루와 가장 가까웠는데 조금 다른 것은 어린 줄기에 적갈색 선모가 아니라 백색 선모가 밀생하고 어린줄기 뿐만 아니라 올해 새로 나온 줄기에도 백색 선모가 밀생한다는 것이다. 하여 추정해봤다. 요 애들은 털개머루와 까마귀머루 교잡종일 수 있다. 털개머루를 개머루에 통합했으니 털청까마귀머루라고 해봤자 청까마귀머루라고 할 것이 예상되기에 그냥 청까마귀머루라고 해도 되겠다. 국생정 기재문에 .. 2024. 6. 24. 미상의 비비추속 2024. 6.꽃차례가 일월비비추처럼 두상화서로 같지만 진짜 일월비비추는 아니다. 어떻게 보면 좀비비추와 가깝게 보인다.ㅊ교수님이 연구중인 비비추속이 요 애들인 모양인데 조만간 발표하신다고 했으니 그때 가면 이름을 달 수 있겠다.내가 이름을 짓는다면 "남도일월비비추"다. 일월비비추 https://adu825.tistory.com/4218 일월비비추(백합과)2021. 7 이곳에는 온통 일월비비추만 보인다. 일월비비추는 꽃이 주먹처럼 뭉쳐서 피기 때문에 꽃술 색깔, 잎모양, 줄기 등을 따로 살필 필요도 없다. 몇 년 전에 지리산에서 흰일월비비추를 본 적adu825.tistory.com다도해비비추 https://adu825.tistory.com/4309 다도해비비추(백합과)2021. 9. 4 다도해비비추 .. 2024. 6. 13. 노랑붓꽃(붓꽃과/속) 2023. 4. 20. 광양 이곳의 노랑붓꽃은 해발 400~800m에 걸쳐 광범위하게 자생하고 있다. 내가 보는 관점에서 노랑붓꽃인데 모전문가는 금붓꽃으로 보는 게 타당하다고 한다. 그 의견에 수긍할 수 없어서 우리지역 국립기관에 자생 여부, 종동정 등을 의뢰하여 동반 조사를 진행하였다. 염색체 결과 등이 나오면 진짜 노랑붓꽃인지, 금붓꽃인지 아니면 새로운 이름표를 달 수 있을지 조만간 답이 나올 것이다. $ 진짜 노랑붓꽃과 다르게 볼 수 있는 점은 ? o 모든 개체가 1경 1화(노랑붓꽃은 1경 1~2화) o 자방 위치가 중상위에 위치(노랑붓꽃은 상위, 금붓꽃은 하위) o 개화기에는 자방이 포초에 싸여 있어 노출되지 않는다(노랑붓꽃은 노출) o 잎맥은 주맥이 없고 중간맥(2~3개)이 있다(노랑붓꽃은 밋밋.. 2023. 5. 5. 큰잎산꿩의다리(Thalictrum punctatum) 2022. 7. 9/ 7.17 2018년 7월초 누른하늘말나리 찾으러 계곡 탐사하다가 이름 모를 꿩의다리속을 만났는데 그때는 별 생각없이 꿩의다리 종류겠지 무심코 지나쳤었다. 4년이 지난 시점에서 그 계곡에서 만났던 꿩의다리속을 다시 한 번 자세히 살펴볼 작정으로 주말을 맞아 습도가 높은 그곳을 찾아갔다. 장화를 신고 이 계곡 저 계곡 진땀을 흘리면서 탐사해 봤더니 계곡을 따라 경사면 바위틈 이곳 저곳에 드물게 자생하고 있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 마침내 눈높이에 맞는 곳에 군락으로 자생하고 있는 꿩의다리속을 만났는데 남방꿩의다리가 아닐까 하고 살펴봤더니 흰꽃이 피고 줄기잎이 어긋나는 것은 같았으나 잎의 모양, 주두가 새부리처럼 고부러지고 열매자루가 매우 짧은 점, 줄기 중간이나 아랫쪽에서도 꽃줄기가 나온.. 2022. 8. 7. 소화바늘꽃(갯바늘꽃) 발견 2021. 6. 27. 신안, 학명 : Epilobium parviflorum Schreb 습지에 한 무리가 있었는데 오후가 되서 그런지 꽃잎을 닫은 것 같았다. 이름을 찾을려고 인터넷 검색포털에서 바늘꽃속 종류는 다 들여다봐도 요애들 이미지에 부합하는 이름을 못찾았다. 블로그나 카페 등에 내가 발견한 바늘꽃속을 포스팅한 사람이 한 명도 없었다. 그렇다면 국내 미기록종일수 있고 신종일 수도 있다고 생각했는데 결국 꽃동무가 유럽 원산 "Epilobium parviflorum Schreb"라고 찾아 주었다. 아마도 약용식물로 도입된 것이 번진 것으로 추정된다고 하였다. 2023. 1. 28. 2023년 한국식물분류학회 제54회 정기학술대회 발표자료 제목에 "Epilobium parviflorum Schreb.. 2021. 7. 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