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종,미기록종 발견(공개)72

단풍잎복분자(R. chingii Hu) 2021. 11. 28 자생지 위치를 대충 알고 갔어도 쉽게 찾을 수는 없었다. 운좋게 자생지를 찾았는데 다른 곳에서 봤던 애들하고는 키가 달랐다. 3미터가 넘는 애들이 수두룩했다. 솔밭 거름기가 많은 곳에 있어서 그런지 건강해 보였다. 개체수도 발표 당시 60여 개체보다 훨씬 많은 것 같았다. 내년 꽃필때 가봐야겠다. 단풍잎복분자 발표 관련 신문기사 https://cp.news.search.daum.net/p/70466402 국립생태원, 미기록종 단풍잎복분자 자생지 발견국내 기록이 없는 단풍잎복분자 60여 개체 발견...학술적으로도 큰 의미로 평가www.ecomedia.co.kr 2021. 11. 30.
다도해산들깨 향기 나는 비렁길 2021. 10. 31. 열매 채집하러 갔다 9월중순부터 꽃을 피우기 시작해서 꾸준히 꽃을 피워서 열매탑을 쌓아놓고선 꽃 마감을 했다. 3년 전 처음 발견한 곳인 매봉전망대를 가봤더니 그곳에도 여전히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고 있었다. 꽃 한송이에 수류탄을 닮은 종자가 4개씩 결실한다 2021. 11. 3.
다도해산들깨_보길도 해안 2021. 10. 9 꽃 개화가 끝물로 들어서고 있었는데 마치 그 모양이 9층석탑 같았다. 예외없이 꽃 하나에 포 하나씩 붙어서 동서남북 네방향으로 열매탑을 쌓아가고 있었다. 2021. 10. 10.
다도해산들깨_보길도 바닷가 산지 2021. 10. 9. 격O봉 능선 이 섬의 개체들은 유난히 털이 많았다. 보길도산 가는잎산들깨 건조표본이 많았는데 거의 대부분 신종 쥐깨풀속이었다. 현재까지 요 개체들 자생지를 확인한 곳은 금오도, 진도, 보길도, 팔영산, 고흥 영남면 바닷가였다. 팔영산이나 영남면 바닷가 애들은 개체수가 적었고 금오도, 보길도는 군락으로 자생하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 2021. 10. 10.
다도해산들깨_금오도(정기준표본 채집지) 2021. 9. 22 3년 전에 처음 본 이름모를 쥐깨풀속 정체를 밝히기 위해 N선생님과 C교수님을 안내해서 금오도 비렁길에 군락으로 자생하고 있는 곳으로 보러 갔다. C교수님은 이곳에서 미기록종으로 추정되는 쥐깨풀속 표본을 채집하였다. 아직 최종 판단은 아니지만 국내미기록종이고 일본이나 중국에 없으면 신종으로 한국특산식물(Korean endemic plant)일 수 있다고 한다. 조만간 결과는 나올것으로 기대해본다. 10월말경 열매 채취하러 다시 가봐야한다. 2021. 9. 26.
다도해비비추>돌산비비추 2021. 8. 15 산길을 가다가 아주 예쁜 조그만 비비추속을 만났는데 키가 10cm 조금 넘었다. 이렇게 작은 애는 처음이다. 그냥 애기비비추다. 2021. 8. 16.
미상의 쥐깨풀속_고흥 바닷가 2020. 8. 1 갯가를 둘러보는데 눈에 익은 예쁜꽃이 보였다. 가까이 들여다보면 아주 이쁘다. 2021. 8. 16.
신안백정화(S. serissoides) 2021. 7. 24. 국내 미기록종 o 학명 : Serissa serissoides / 중국명 : 백마골 / 일본명 : 당백정화 지난 6월말에는 꽃이 하나 둘 피기 시작했는데 7월말이 돼가는 지금까지도 꽃이 계속 피고 있었다. 자생지 주변에 최근 2018년 전후로 편백나무를 심어 놓은 것 같은데 바닷가라서 그런지 염분이 많고 땅이 척박해서 나무가 잘 적응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번에는 수령이 꽤 된 듯한 백정화를 여럿 만났고 자생규모 및 개체수도 확인해봤는데 어린개체부터 성숙개체까지 다양했다. 아마도 수백개체는 될 것이다. 만약 자생종이 아니고 '18년경 중국산 편백나무 묘목으로 조림할 때 유묘나 종자가 묻어서 유입되었다고 한다면 수령이 꽤 되는 백정화가 있다는 것은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결과적으로.. 2021. 7. 26.
소화바늘꽃(갯바늘꽃) 발견 2021. 6. 27. 신안, 학명 : Epilobium parviflorum Schreb 습지에 한 무리가 있었는데 오후가 되서 그런지 꽃잎을 닫은 것 같았다. 이름을 찾을려고 인터넷 검색포털에서 바늘꽃속 종류는 다 들여다봐도 요애들 이미지에 부합하는 이름을 못찾았다. 블로그나 카페 등에 내가 발견한 바늘꽃속을 포스팅한 사람이 한 명도 없었다. 그렇다면 국내 미기록종일수 있고 신종일 수도 있다고 생각했는데 결국 꽃동무가 유럽 원산 "Epilobium parviflorum Schreb"라고 찾아 주었다. 아마도 약용식물로 도입된 것이 번진 것으로 추정된다고 하였다. 2023. 1. 28. 2023년 한국식물분류학회 제54회 정기학술대회 발표자료 제목에 "Epilobium parviflorum Schreb.. 2021. 7.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