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미기록종 발견(공개)/산딸기속(Rubus)123412 단풍잎복분자 2025. 6.맛이 궁금했다. 수리딸기와 식감이 비슷하지만 단맛이 더 있었다.최초 발견지인 고흥산은 자생이 아닐 수 있다고 의심하는 전문가도 있으나 이곳의 개체들은 내가 보기에 진짜다. 2025. 6. 13. 수리딸기 2025. 6. 1.참 먹음직스럽게 익었는데 올해는 단맛이 약하다. 산뽕나무 열매 오디도 맛이 없긴 마찬가지다. 수리딸기 꽃 https://adu825.tistory.com/5124 수리딸기2023. 4. 8. 하얀 꽃이 앙증맞은 수리딸기도 꽃을 피우고 있었다. 수리딸기 열매 https://adu825.tistory.com/4060 수리딸기(장미과)열매2021. 5. 22. 야생딸기 열매를 종류별로 다 먹어보지는 못했지만 내게는 adu825.tistory.com 2025. 6. 2. 장딸기 2025. 4. 2.풀밭에서 비교적 쉽게 볼 수 있었는데, 이제사 하나 둘 피기 시작하고 있었다. 장딸기 https://adu825.tistory.com/5113 장딸기(장미과)2023. 4. 2. 섬딸기인 줄 알고 갔더니 장딸기였다. 열매는 결실률도 좋고 맛도 좋아서 따 먹을만하다. 장딸기 열매 https://adu825.tistory.com/1832 장딸기 2017. 5. 16. 꽃이 핀지 두달여 만에 열매가 익어가고adu825.tistory.com 2025. 4. 3. R. babae(수리&장딸기) 2024. 4.전체적인 느낌은 수리딸기 같으나 꽃이 큼지막하고 잎이 세갈래로 약간 갈라지고 꽃받침이 장딸기와 다르고 수리딸기처럼 화탁턱이 있다. 줄기도 장딸기처럼 샘털, 굽은털이 없다. 임도변에 여러 개체가 모여 있었는데 다른 지역에도 드물게 있다고 한다. 일본에서 교잡종으로 발표했으니 우리는 국명이라도 지어줘야 하지 않을까 한다. 수리딸기 https://adu825.tistory.com/4590 수리딸기(장미과)2022. 4. 16 수리딸기 열매 https://blog.daum.net/adu825/4060 수리딸기(장미과)열매 2021. 5. 22 야생딸기 열매를 종류별로 다 먹어보지는 못했지만 내게는 수리딸기가 가장 맛있다. 섬딸기 열매 https://blog.daum.adu825.tistory... 2024. 4. 23. 산딸기(R. crataegifolius Bunge) 2024. 4. 18.산딸기도 잎 결각이 보통이 아니다. 아래는 왼쪽에 수리딸기, 오른쪽에 산딸기가 가까이 자생하고 있다. 둘사이에 교잡이 일어난다면 어떤 모습일까... 2024. 4. 23. 자연교잡종_1type 2023. 6.결실기 표본까지 채집했으니 조만간 기재 논문이 나오지 않을까 기대해 본다.이 애들은 마치 고로쇠나무잎과 단풍잎이 차이가 있듯이 단풍잎복분자와 쉽게 구별이 되고 꽃, 열매 모두 형태가 다르다. 2023. 6. 5. 단풍잎복분자 열매 2023. 6. 4.꽃 핀 자리마다 여지없이 열매가 달렸다. 결실률이 아주 좋은 것으로 보였다.중국은 장협복분자로 부르며 덜 익은 열매를 따서 말린 거를 한약재로 쓴다고 한다. 아마도 국명 단풍잎복분자는 중국 장협복분자에서 딴 것으로 이해가 된다. 단풍잎복분자 꽃 https://adu825.tistory.com/5175 단풍잎복분자2023. 4. 16. 학명 Rubus chingii Hu 단풍잎복분자(가칭) 꽃을 사진으로는 많이 봤지만 실제 대면하는 것은 처음이다. 가까운 이웃동네에 아주 멋진 애들이 산다는 게 기분이 좋았고 미기록종과 비교할 adu825.tistory.com 2023. 6. 5. 단풍잎복분자(R. chingii Hu) 2023. 4. 16. 학명 Rubus chingii Hu단풍잎복분자 꽃을 사진으로는 많이 봤지만 실제 대면하는 것은 처음이다. 가까운 이웃동네에 아주 멋진 애들이 산다는 게 기분이 좋았고 미기록종과 비교할 사진도 확보했으니 더할 나위 없이 좋았다. 산딸기속 미기록종 https://adu825.tistory.com/4812 산딸기속 미기록종2022. 4. 이처럼 아름다운 산딸기 꽃을 본 적이 있었던가!! 마치 하얀 나비가 훨~훨~ 나는 듯한 이미지다. Miss Rubus 眞이다. 승무 싯구 중 '얇은 사 하이얀 고깔은 고이 접어서 나빌레라~'가 생각난다.adu825.tistory.com 2023. 5. 7. 수리딸기 2023. 4. 8. 하얀 꽃이 앙증맞은 수리딸기도 꽃을 피우고 있었다. 수리딸기 열매 https://adu825.tistory.com/4060 수리딸기(장미과)열매2021. 5. 22. 야생딸기 열매를 종류별로 다 먹어보지는 못했지만 내게는 수리딸기가 가장 맛있다. 섬딸기 열매 https://blog.daum.net/adu825/2392 섬딸기(장미과) 열매 2018. 5. 31 섬딸기는 이른 봄에 꽃이 펴adu825.tistory.com 2023. 4. 11. 이전 1 2 다음